해외반응 모음
  • 홈
  • 메뉴 닫기
  • 글작성
  • 방명록
  • 환경설정
    • 분류 전체보기 (53)
      • 정치·사회 해외반응 (22)
      • 방송·연예 (18)
      • 스포츠 (13)
  • 홈
  • 태그
  • 방명록
정치·사회 해외반응

해외반응│한겨울에도 아이스 아메리카노를 마시는 한국인들

얼죽아를 고집하는 한국인 얼죽아는 얼어 죽어도 아이스아메리카노를 마신다는 신조어입니다. 한 커피 브랜드의 통계에 따르면 한국에서 판매되는 음료의 76%가 차가운 음료였고, 겨울에도 54%나 된다고 합니다. 한국인들이 얼마나 아이스커피를 사랑하는지 알 수 있는 통계입니다. 동남아의 베트남,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태국 등에 가면 아이스 커피는 일상입니다. 당연하게도 더운 나라이기 때문에 차가운 음료가 인기입니다. 이해가 되는 부분이죠? 한국도 여름은 덥지만 맹추위가 작렬하는 겨울은 시베리아 못지않습니다. 그럼에도 한국인들은 겨울에 차가운 커피를 마십니다. 아이스 아메리카노를 줄여서 '아아'라고 부르고, 아이스 라떼는 '아라'라고 부릅니다. 한 외신에 따르면 차가운 음료를 선호하는 건 한국의 빨리빨리 문화..

2023. 6. 25. 12:09
정치·사회 해외반응

해외반응│한국의 겨울은 진짜 시베리아만큼 추울까?

한국인의 추위 부심 한국은 4계절이 뚜렷한 나라입니다. 봄이면 꽃이 피고, 여름이면 무더운 날씨가 지속되고, 가을에는 단풍이 들고, 겨울에는 눈이 내립니다. 어릴 적 학교에서는 4계절이 뚜렷한 우리나라가 아름다운 강산을 지녀 자랑스럽다고 배웠습니다. 하지만 나이가 들고 보니 계절이 바뀔 때마다 날씨에 적응하느라 여간 힘든 게 아닙니다. 여름에는 동남아만큼 덥고, 겨울에는 시베리아만큼 춥습니다. 지구 온난화로 이상기온, 이상기후 현상이 빈번해지면서 홍수, 가뭄, 태풍 등의 자연피해가 늘고 있습니다. 또 여름에는 냉방에 엄청난 전기를 사용해 전력난을 겪습니다. 겨울에는 강추위로 난방비 걱정을 하며 살아야 합니다. 물론 장점도 있습니다. 계절 변화가 심해 다양한 옷을 입어 패션이 발달했습니다. 여름에 맞는 시..

2023. 6. 18. 01:04
정치·사회 해외반응

프랑스 반응│한국은 어떻게 기적적인 경제 발전에 성공했나?

한강의 기적 흔히 한국의 경제발전을 두고 한강의 기적이라 부릅니다. 일제강점기 때 온갖 자원을 수탈당하고 많은 사람이 죽었습니다. 어렵게 해방을 맞이했지만 남한과 북한으로 나뉘어 전쟁을 치러야 했습니다. 전쟁 후 전 국토는 황폐화되었고 산업 기반시설은 모두 파괴되었습니다. 할머니, 할아버지 말씀처럼 "피죽도 못 먹던"시대가 온 것입니다. 한국은 유니세프를 비롯한 많은 국제기구와 국가들로부터 원조를 받았습니다. 이제는 대표 한국 음식 중 하나가 된 '부대찌개' 역시 원조를 받던 슬픈 역사의 한 단면입니다. 사실 한국과 프랑스는 오랜기간 인연을 이어오고 있습니다. 1949년 정식 수교 해 6.25 전쟁 때 UN군으로 프랑스 군인들이 참전했습니다. 한국-프랑스 수교 130주년에는 에펠탑에서 태극기 조명쇼가 펼..

2023. 6. 6. 00:43
정치·사회 해외반응

해외 반응│한국인은 왜 아시아에서 평균 키가 가장 클까?

한국인의 평균키 한국 남자의 평균키는 175.5cm, 여자는 163.2cm입니다. 아시아에서 가장 키가 큰 축에 속하며 유럽과 비교해도 작지 않을 정도입니다. 통계청 조사에 의하면 지난 40년간 한국 남자의 평균 키는 6.4cm, 여자는 5.3cm가 증가했습니다. 또 롱다리 체형이 증가했다고 합니다. 1979년 166.1cm에 불과했던 한국 남자 평균 키는 2010년 170.7cm로 처음으로 170cm를 넘어섰습니다. 현재는 175cm 정도로 더 증가했습니다. 한국인의 평균 키가 증가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역사적 기록을 보면 북방인들이 남방인보다 키가 더 컸다고 합니다. 더불어 영양적인 면도 영향이 있을 수 있습니다. 일제강점기와 6.25 전쟁을 겪으며 농업과 산업이 무너졌습니다. 1950년 대 전후에 ..

2023. 5. 23. 00:47
정치·사회 해외반응

대만 반응│TSMC에 밀린 삼성이 망한다면?

삼성전자와 TSMC 삼성전자와 TSMC는 세계 최고의 반도체 기술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삼성전자가 D램 분야에서 세계 1위라면 TSMC는 파운드리 분야를 석권하고 있습니다. 두 기업 모두 한국과 대만을 대표하며 전 세계적인 시장 지배력도 매우 높습니다. 즉 국가의 경제를 좌우하는 선도적인 기업입니다. 삼성은 이건희 회장이 취임 후 눈부신 발전을 이루었습니다. 스마트폰 분야에서 애플과 세계 시장을 양분하고 있고, 반도체 시장을 주도하고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냉장고, 세탁기, 청소기 등 가전제품 분야에서도 높은 매출을 매년 기록하고 있습니다. 대만을 삼성을 닮고 싶은 기업이라며 높게 평가했었습니다. 대만은 내수 시장이 작아 위탁생산에만 주력하고 있습니다. TSMC, 폭스콘, UMC 등이 위탁생산을 통해 성..

2023. 5. 21. 00:43
정치·사회 해외반응

베트남 반응│삼성이 베트남에서 철수한다면 경제 위기가 올까?

삼성과 베트남 삼성은 베트남 전체 수출액의 17.5%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삼성전자는 1995년 베트남에 진출해 엄청난 투자를 통해 공장 및 판매법인 등을 만들었습니다. 2008년에는 베트남 박닌에 스마트폰 공장을 설립하는 등 10여 년 동안 각지에 설비투자를 하고 있습니다. 삼성전자는 베트남 공장에서 갤럭시Z폴드, 갤럭시 Z플립 등 폴더블 폰을 생산하고 있습니다. 삼성전자의 플더블 폰은 전 세계에서 4배 이상 판매량이 늘었습니다. 삼성전자 베트남 공장은 전 세계에서 판매되는 스마트폰의 50% 이상을 생산하고 있습니다. 스마트폰뿐만 아니라 냉장고, 세탁기, TV, 청소기 등 핵심 가전제품을 베트남에서 생산하고 있습니다. 2021년 기준 삼성의 베트남 투자액은 182억 달러(약 24조 원)에 달했습니다. ..

2023. 5. 19. 00:35
  • «
  • 1
  • 2
  • 3
  • 4
  • »

공지사항

전체 카테고리

  • 분류 전체보기 53
    • 정치·사회 해외반응 22
    • 방송·연예 18
    • 스포츠 13
애드센스 광고 영역
  • 최근 글
  • 최근 댓글

최근 글

최근댓글

Powered by Privatenote Copyright © 해외반응 모음 All rights reserved. TistoryWhaleSkin3.4

티스토리툴바

단축키

내 블로그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Q
Q
새 글 쓰기
W
W

블로그 게시글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E
E
댓글 영역으로 이동
C
C

모든 영역

이 페이지의 URL 복사
S
S
맨 위로 이동
T
T
티스토리 홈 이동
H
H
단축키 안내
Shift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